전체 글232 chapter 05. MAC 계층 - 1 1. 1번문제 LAN 환경에서 계층 2 기능에 대한 표준안을 다루는 IEE 802 시리즈는 LLC 뿐만 아니라 MAC 계층에 대한 다양한 표준안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2. LAN 환경에서는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데이트 링크 계층을 둘로 나누었습니다. OSI 7계층 모델에서 정의한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본 기능은 : LLC 계층 물리적 전송 선로의 특징과 매체 간 연결 방식에 따른 제어 부분은 : MAC 계층 3. 다중 접근 채널 방식을 이용해 공유 매체에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식에서는 데이터 충돌 가능성이 늘 존재합니다. 이때 충돌 허용 방식의 대표적인 예는 이더넷으로 알려진 CSMA/CD 충돌 회피 방식의 간단한 예는 각 송신 호스트에 서로 다른 전송 시간대를 지정하는 타임슬롯 배정방.. 2019. 4. 21. chapter 04. 데이터 전송의 기초 - 3 21. 교환과 전송의 개념을 설명하시오. 교환 : 전달 경로가 둘 이상일 때 라우터에서 데이터를 어느 방향으로 전달할지를 선택하는 기능 전송 : 특정한 물리 매체에 의하여 일대일로 직접 연결된 두 시스템 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기 위함. 22. 점대점 방식과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차이점 위주로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점대점 방식 : WAN 환경에서 주로 사용하며, 중개 호스트와 일대일로 연결되므로 다른 호스트에는 데이터가 전달되지 않습니다. 브로드 캐스팅 방식 : LAN처럼 지리적으로 가까운 환경에서 주로 사용하며, 별도의 교환이 필요없습니다. 왜냐하면 연결된 모든 호스트에 데이터가 전송되기 때문입니다. 목적지가 아닌 호스트는 받은 데이터를 버립니다. 23. 멀티포인트 유니캐스팅 방식과 멀티캐.. 2019. 4. 21. chapter 04. 데이터 전송의 기초 - 2 12. 전송과 교환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을 모두 고르시오. 송신 호스트가 수신 호스트에 데이터를 전달하려면 전송과 교환 과정을 거쳐야 한다. 교환에는 라우팅 개념이 포함되지만, 전송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각 호스트를 일대일로 직접 연결해 목적지에만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점대점 방식이라 한다. 연결된 모든 호스트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멀티캐스팅이라 한다. 점대점 방식은 LAN 환경에서 주로 사용하고, 브로드캐스팅 방식은 WAN 환경에서 주로 사용한다. 연결된 모든 호스트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브로드캐스팅 이라고 합니다. 점대점 방식은 WAN 환경에서 주로 하고, 브로드 캐스팅 방식은 LAN 환경에서 주로 사용합니다. 13. 점대점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을 모두 고르시오. 교환 호.. 2019. 4. 21. chapter 04. 데이터 전송의 기초 - 1 1. 송신 호스트가 수신 호스트에 데이터를 전달하려면 두 가지 과정을 거쳐야 한다. 전달 경로가 둘 이상일 때 어느 방향으로 전달할지를 선택하는 기능 : 교환 특정한 물리 매체에 일대일로 직접 연결된 두 시스템 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보장 : 전송 2. 2번문제 두 호스트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의미하는 : 유니캐스팅(통신의 가장 기본적인 형식) 송신 호스트가 전송한 데이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호스트에 전송되는 : 브로드캐스팅 프로토콜 자체에서 일대다 전송 기능을 구현하여 동작하는 : 멀티캐스팅 3. 응답 프레임의 종류는 두가지가 있다. 데이터 프레임이 정상적으로 도착했을 때 회신하는 : 긍정 응답 프레임 데이터 프레임이 깨졌을 때 회신하는 : 부정 응답 프레임 4. 4번 문제 송신 호스트는 .. 2019. 4. 21. chapter 03. 네트워크 기술 - 3 위에 그림은 문제를 풀기 전 참고 자료입니다. 19. 교환 시스템의 종류인 회선 교환 방식과 패킷 교환 방식을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시오. 회선 교환 방식 : 고정 대역으로 할당된 연결을 설정하여 데이터 전송을 시작한다. (구조가 단순하다) 패킷 교환 방식 : 컴퓨터 네트워크 환경에서 주로 이용,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용 대역을 따로 할당하지 않기 때문에 가변 크기의 전송률을 지원한다. (구조가 복잡하다) 20. 패킷 교환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가상 회선 방식과 데이터그램 방식을 설명하시오. 가상 회선 방식 : 모든 패킷의 경로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에서는 패킷의 도착 순서가 뒤바낄 수 없습니다. 데이터그램 방식 : 비연결형 서비스를 이용해 패킷을 독립적으로 전송하는 것 입니다.. 2019. 4. 21. chapter 03. 네트워크 기술 - 2 10. 교환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을 모두 고르시오. 1, 2, 4 교환 시스템은 데이터를 최종 목적지까지 올바르게 전달하도록 데이터를 중개하는 교환 기능을 제공한다. 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선 교환 방식은 음성 전화 서비스를 통해 발전했으며, 고정 대역폭의 전송률을 지원한다.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패킷 교환 방식은 가변 대역의 전송률을 지원하므로 네트워크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다. 회선 교환 방식에서는 데이터의 전송 경로가 연결 설정 과정에서 고정되므로 라우팅 등의 작업이 쉽다. 회선 교환 방식에는 모든 패킷의 경로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가상 회선 방식과 데이터들이 각각의 경로로 전송되는 데이터그램 방식이 있다. 가변 대역의 전송률을 지원하므로 네트워크 구조가 복잡하비다. 회선 교.. 2019. 4. 21. chapter01. 시스템 개발 과정의 이해 1장 Index 01. 소프트웨어공학 02. 시스템과 시스템 개발자 03. SDLC 모형 04. 프로토타입 모형 05. 프로젝트 관리 01. 소프트웨어공학 소프트웨어 공학은 소프트웨어위기를 겪으면서 출연하였습니다. 예를들면 개발기간의 지연을 해결해 보려고 인력을 더 투입했지만 개발비용만 늘어났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출현하였습니다. 소프트웨어 공학이란 소프트웨어의 개발, 운용, 유지보수 및 파기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식 입니다. 소프트웨어 공학의 계층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1-1 도구란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사용되는 여러가지 방법을 자동화 한 것입니다. 예를 들면 CASE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개발 전 단계를 지원하는 대표적 도구입니다. CASE는 전반부를 지원하는 계획, 분.. 2019. 4. 19. chapter 03. 네트워크 기술 - 1 1. 교환 시스템은 크게 두가지 고정 대역이 할당된 연결을 설정 하는것은? 회선교환 컴퓨터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 분할 하는 것은? 패킷교환 2. 패킷 교환 방식은 크게 두가지 모든 패킷의 전달 결과가 같은 것은? 가상회선 패킷의 경로 선택이 독립적인 것은? 데이터그램 3. LAN 환경에서 둘이상의 호스트가 데이터 동시 전송할때 공유 버스에서 데이터 충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링형 구조에서 토큰 이라는 제어프레임을 이용해 문제 해결 가능 4. LAN 구성에서는 전송호스트가 공유 버스를 이용한 브로드 캐스팅을 사용하기 때문에 교환의 개념이 필요없다. 점대점으로 연결된 WAN 환경에서만 교환 기능이 필수이다. 5. 둘 이상의 서로다른 네트워크 연결 : 인터네트워킹 하위 3개 계층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 2019. 4. 18. chapter 02. 네트워크 모델 - 3 21. 모듈화 된 계층 구조 프로토콜의 장점을 설명하시오. 장점 큰 시스템을 기능별로 작게 분류해서 간단하게 재구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체 시스템을 이해하기 쉽고,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기도 편리합니다. 모듈 인터페이스는 가능한 단순하게 구현하여 모듈들이 최대한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해야합니다. (단순하게) 대칭 구조에서는 통신 양단에 위치하는 동일 계층 사이의 프로토콜을 단순화 할 수 있습니다. 특정 계층의 내부 변경이 다른 모듈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22. 계층 구조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설계할 때 고려할 사항을 나열하시오. 네트워크 호스트의 주소 표현 방법,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의 오류 제어, 통신 양단사이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흐름제어, 데이터 전달방식 23. 임의의 송신 호.. 2019. 4. 18.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