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32

chapter01. 시스템 개발 과정의 이해 1장 Index 01. 소프트웨어공학 02. 시스템과 시스템 개발자 03. SDLC 모형 04. 프로토타입 모형 05. 프로젝트 관리 01. 소프트웨어공학 소프트웨어 공학은 소프트웨어위기를 겪으면서 출연하였습니다. 예를들면 개발기간의 지연을 해결해 보려고 인력을 더 투입했지만 개발비용만 늘어났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출현하였습니다. 소프트웨어 공학이란 소프트웨어의 개발, 운용, 유지보수 및 파기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식 입니다. 소프트웨어 공학의 계층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1-1 도구란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사용되는 여러가지 방법을 자동화 한 것입니다. 예를 들면 CASE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개발 전 단계를 지원하는 대표적 도구입니다. CASE는 전반부를 지원하는 계획, 분.. 2019. 4. 19.
chapter 03. 네트워크 기술 - 1 1. 교환 시스템은 크게 두가지 고정 대역이 할당된 연결을 설정 하는것은? 회선교환 컴퓨터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 분할 하는 것은? 패킷교환 2. 패킷 교환 방식은 크게 두가지 모든 패킷의 전달 결과가 같은 것은? 가상회선 패킷의 경로 선택이 독립적인 것은? 데이터그램 3. LAN 환경에서 둘이상의 호스트가 데이터 동시 전송할때 공유 버스에서 데이터 충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링형 구조에서 토큰 이라는 제어프레임을 이용해 문제 해결 가능 4. LAN 구성에서는 전송호스트가 공유 버스를 이용한 브로드 캐스팅을 사용하기 때문에 교환의 개념이 필요없다. 점대점으로 연결된 WAN 환경에서만 교환 기능이 필수이다. 5. 둘 이상의 서로다른 네트워크 연결 : 인터네트워킹 하위 3개 계층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 2019. 4. 18.
chapter 02. 네트워크 모델 - 3 21. 모듈화 된 계층 구조 프로토콜의 장점을 설명하시오. 장점 큰 시스템을 기능별로 작게 분류해서 간단하게 재구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체 시스템을 이해하기 쉽고,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기도 편리합니다. 모듈 인터페이스는 가능한 단순하게 구현하여 모듈들이 최대한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해야합니다. (단순하게) 대칭 구조에서는 통신 양단에 위치하는 동일 계층 사이의 프로토콜을 단순화 할 수 있습니다. 특정 계층의 내부 변경이 다른 모듈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22. 계층 구조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설계할 때 고려할 사항을 나열하시오. 네트워크 호스트의 주소 표현 방법,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의 오류 제어, 통신 양단사이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흐름제어, 데이터 전달방식 23. 임의의 송신 호.. 2019. 4. 18.
chapter 02. 네트워크 모델 - 2 13. 모듈화된 계층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을 모두 고르시오. 1,2,4 일반적으로 복잡하고 큰 시스템은 그 기능을 여러 개의 모듈로 나누어 설계한다. 상하 계층에 인접한 모듈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분할된 모듈이 연동할 수 있는 표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전송 매체 양단에 있는 호스트가 수행하는 프로토콜은 좌우 비대칭 구조이다. 각 계층의 기능 오류를 수정하거나 향상시켜야 할 때, 전체 시스템을 재작성하지 않고도 해당 계층의 모듈만 교체하는 것으로 완료할 수 있다. 모듈 인터페이스는 가능한 단순하게 구현해 모듈이 서로 종속적으로 밀접하게 연계하여 동작되도록 해야 한다. 전송 매체 양단에 있는 호스트는 좌우 대칭 구조입니다. 모든 모듈들은 독립적으로 동작되어야 합니다. 14. 프로토콜 설.. 2019. 4. 18.
chapter 02. 네트워크 모델 - 1 1.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호스트에 데이터 전송 : 브로드 캐스팅 특정 사용자를 그룹으로 묶어서 지칭하는 것은 : 멀티캐스팅 2. 컴퓨터 전송 오류의 종류는? 데이터가 깨져서 도착하는 것은 : 데이터 변형 데이터가 수신 호스트 까지 도착하지 못하는 것은 : 데이터 손실 해결방법은 : 송신호스트의 재전송이 있습니다. 3. 송신 호스트의 속도를 조절하는 기능 흐름제어를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4. 1:1 통신 환경에서 구성은? 한쪽 방향으로만 전송 : 단방향 양쪽에서 동시에 전송 : 전이중 양방향 이지만 득점 상황때 단방향 : 반이중 5. 연결형 서비스 이용 3단계 데이터가 전달 경로 설정 : CONNECT(연결 설정) 앞단계가 성공해야 이것이 가능 : DATA(데이터 전송) 전송 후 연결 끊는 단계 .. 2019. 4. 17.
chapter01. 네트워크의 기초 용어와 기능-3 27. 다음 용어를 설명하시오. 시스템 : 내부 규칙에 따라 능동적으로 동작하는 대상 인터페이스 : 시스템과 시스템을 연결하기 위한 표준화된 접근 방법 전송 매체 : 물리적인 전송수단 입니다. 프로토콜 : 데이터를 교환할때 표준화된 규칙 네트워크 : 통신 매체를 공유할때 사용하는 하나의 단위 인터넷 : 모든 네트워크가 연결된 통합 네트워크 28. 다음 용어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노드 :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모든 시스템이다. 호스트 : 컴퓨팅 기능이 있는 시스템이다. (창구 역할을 합니다) 클라이언트 : 서비스를 이용하는 역할을 합니다. 서버 : 임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29. OSI 7계층 모델의 각 기능을 설명하시오 물리 계층 : 호스트를 전송 매체와 연결하기 위한 인.. 2019. 4.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