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32

chapter01. 네트워크의 기초 용어와 기능-2 17. 다음 설명 중에서 올바른 것을 모두 고르시오. 1, 5 네트워크에 연결된 시스템들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때 사용하는 규칙을 인터페이스라 한다. 서로 다른 시스템이 상호 연동해 동작하려면 연동 형식의 통일이 필요한데, 이 통일을 표준화라 한다. 네트워크는 전송 매체로 서로 연결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시스템의 모음이다. 흔히 사용되는 인터넷은 IP라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집합체이다. IP 프로토콜은 Information Protocol의 약자이다.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때 사용하는 규칙을 프로토콜이라고 합니다. IP는 Internet Protocol의 줄임말입니다. 18. 네트워크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을 모두 고르시오. 1, 2 시스템은 체제라고도 하는데, 내부 규.. 2019. 4. 17.
chapter01. 네트워크의 기초 용어와 기능-1 1. 시스템과 전송 매체의 연결지점에 대한 규격은 인터페이스 라고 합니다. 시스템이 데이터를 교환 할때 임시의 통신 규칙을 프로토콜 이라고 합니다. 2. 여러 시스템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할때 하나의 단위를 네트워크 라고 합니다. 네트워크 끼리는 라우터 라는 중개 장비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합니다. 3. 흔히 사용하는 인터넷은 IP라는 표준화된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집합체입니다. 4. 호스트를 세분하여 구분하는 경우 호스트 사이에 제공되는 서비스를 기준으로 (호스트, 서버)분류 호스트 : 서비스를 요청하는 시스템 서버 :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5. 호스트, 서버, 호스트, 서버 6. 국제 표준화 단체인 ISO에서는 OSI 7계층을 제안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된 시스템이 갖.. 2019. 4. 17.
005. 데이터 그래프 만들기 Index 산점도 막대그래프 선그래프 상자그림 1. 산점도 먼저 산점도는 연속 값으로 된 두 변수의 관계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 ggplot2 문법은 레이어 구조입니다. 3단계를 확인 해 봅시다. 배경 설청(축) 그래프 추가(점, 막대, 선) 설정 추가(축 범위, 색, 표식) 1-1. 배경 설정하기 먼저 산점도를 사용하기 위해 mpg 데이터를 불러 온 후 aes를 통해 x축과 y축에 사용할 변수를 지정하겠습니다.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배경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실행을 하면 다음과 같이 배경이 생성됩니다. 배경만 있고 안에 그래프가 없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geom_point( )를 추가해 산점도를 그리겠습니다. 1-2. 그래프 추가하기 geom_point(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은 아.. 2019. 4. 16.
004. psych패키지, descr패키지 사용하기 앞에 나왔던 summary( ) 함수로는 최솟값, 1사분위수, 중앙값, 평균, 3사분위수, 최댓값까지 확인할 수 있지만 "psych" 패키지를 설치하고 로드한 후 describe( )함수를 이용하면 summary( )함수에서 이용한 것과 변수 개수, 관측치 수, 표준편차, 범위, 첨도, 왜도 까지 알 수 있습니다. 예를들면 summary 한 값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다음은 describe한 값입니다. 이것을 통해 summary로만 부족한 내용을 describe를 통해 보충해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descr"패키지를 이용해 freq( ) 함수를 사용해서 빈도수를 확인시켜주는 함수를 만들겠습니다. 먼저 mpg데이터에 있는 자동차 브랜드의 빈도수를 파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했습니.. 2019. 4. 16.
003. 데이터 파악하기 데이터를 파악할 때 사용하는 함수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함수 기능 head( ) 데이터 압부분 출력 tail( ) 데이터 뒷부분 출력 View( ) 뷰어 창에서 데이터 확인 dim( ) 데이터 차원 출력 str( ) 데이터 속성 출력 summary( ) 요약 통계량 출력 1. head( ) : head( )는 데이터 프레임에서 앞부분 6행을 출력할 때 쓰는 함수입니다. 2. tail( ) : tail( )은 데이터 프레임에서 뒤에서 6행을 출력할 때 쓰는 함수입니다. 3. View( ) : View( )은 데이터 뷰어 창을 열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만들어 줍니다. 4. dim( ) : dim( )은 데이터가 몇행 몇열로 이루어져 있는지 확인시켜 줍니다. 5. str( ) : str( )은 데이터 .. 2019. 4. 15.
인공지능을_활용한_업무자동화_With_Google_Developers_Group_JEJU #인공지능을_활용한_업무자동화_With_Google_Developers_Group_JEJU #무료책 #Notion #Notion으로_집필 안녕하세요. 이호준입니다. 즐거운 월요일이네요. 올해 초에 2박 3일로 제주 플레이스캠프에서 열렸던 ‘인공지능을 활용한 업무자동화 With Google Developers Group JEJU’에 내용을 무료 교재로 집필하였습니다. 이 책은 19년 1월 캠프 참여자 중 공공의 목적으로 기존 교재를 보강하여 배포하고자 했던 16분들의 공헌으로 세상에 나온 책입니다. 캠프가 열릴 수 있도록 도와주신 여러 대표님과 교수님, 팀장님, 매니저님에게 먼저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열정으로 함께해주시는 참여자 여러분에게도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무엇보다 밤낮없이 열정으로 책을 집필.. 2019. 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