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32 디앱(DApp)이란? 디앱(DApp)이란? Decentralized Application의 줄임말로 그대로 해석하면 탈중앙화 어플리케이션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 애플리케이션과 Dapp의 차이점은 구글플레이와 앱스토어는 구글과 애플이 사용 정보들을 소유합니다. 하지만 Dapp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중앙 서버 없이 네트워크상에 정보를 분산하여 저장 및 구동하는 앱 입니다. ※ 예를 들면, 이더리움 디앱(DApp)은 이더리움 블록체인 기반으로 만들어진 앱으로 설명되고, 퀀텀 이나 이오스 DApp도 퀀텀이나 이오스 블록체인 기반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디앱(DApp)과 전통적인 앱의 차이점 항목 디앱(DApp) 전통적인 앱 정보 저장/ 보안 분산된 개인 간 네트워크에 저장으로 해킹의 어려움 중앙화된 데이터베이스 저장 서.. 2019. 6. 26. Chapter 07. IP프로토콜 - 2 14. 네트워크 계층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을 모두 고르시오 ②, ④ ① 네트워크의 구성 형태에 대한 정보는 라우팅 테이블 이라는 기억 장소에 보관한다. ② 네트워크에 패킷 수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현상을 혼잡이라 하고, 혼잡 현상을 예방하거나 제거하는 기능을 흐름 제어라고 합니다. ③ 전송 계층에서 보낸 데이터가 너무 크면 패킷을 여러 개로 작게 쪼개 전송해야 하는데, 네트워크 계층이 이와 같은 패킷의 분할과 병합을 다룬다. ④ 송수신 호스트 사이의 패킷 전달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을 혼잡 제어라고 합니다. ⑤ 혼잡이 발생하면 네트워크 전체의 전송속도가 급격히 떨어지므로 혼잡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② 혼잡을 예방하거나 제거하는 기능을 혼잡 제어라고 합니다. ④ 패킷 전달 경로를 선택하.. 2019. 6. 11. Chapter 07. IP프로토콜 - 1 1. 네트워크 계층의 기본 기능은 송수신 호스트 사이의 패킷 전달 경로를 선택하는 라우팅 입니다. 또한 네트워크 특정 지역에 트래픽이 몰리는 현상을 다루는 것을 혼잡제어라고 합니다. 라우터 사이의 패킷 중개 과정에서 다루는 패킷의 분할과 병합도 계층 3에서 처리 합니다. 2. 라우팅의 동작 방식은 두 종류로 나눌수 있습니다. 송수신 호스트 사이에서 패킷 전송이 이루어지기 전에 경로 정보를 라우터에 미리 저장하는 방식은? 정적 라우팅 방식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사용하는 경로 정보를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하는 방식을 동적 라우팅 이라고 합니다. 3. 라우터 초기화 과정에서 가장 먼저 할 일은 주변 라우터의 경로 정보를 파악하는 것 입니다. 각 라우터는 주변에 연결된 라우터에 초기화를 위한 패킷은.. 2019. 6. 11. Chapter 06. 데이터 링크 - 2 11. 데이터 링크 계층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②,④,⑤ ① 데이터 링크 계층은 (점대점)으로 직접 연결된 호스트들 사이의 전송 오류를 감지하고 복구하는 기능을 합니다. ② 하나의 호스트가 다수의 호스트와 연결된 비대칭 형태를 멀티드롭 방식 이라 하는데, 이 구조를 지원하려면 호스트 주소가 필요합니다. ③ 멀티 드롭이 아닌 점대점으로 연결된 두 호스트 사이의 통신에서도 주소가 필요하다 ④ 물리적 전송 오류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복구할 수 있습니다. ⑤ 신뢰성있는 논리 선로를 제공하기 위한 오류 제어 방식으로 재전송 기법 사용 ③ : 점대점은 호스트 사이에 통신 주소가 필요 없다. 12.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레임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②, ⑤ ① I 프레임은 (상위.. 2019. 6. 11. Chapter 06. 데이터 링크 - 1 1.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두개의 호스트가 통신하려면 두 호스트를 일대일 형식은 무엇인가? 점대점 방식으로 연결해야 합니다.(송신 호스트에서 전송한 프레임은 수신 호스트에 라우팅 과정없이 전달) 2. 데이터링크 계층은 신뢰성 있는 논리 선로를 제공하기 위한 오류 제어방식은 무엇인가? 재전송 기법으로 송신호스트가 전송한 프레임에 오류 발생시 데이터를 다시 전송합니다. 3.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레임은 세 종류가 있습니다. 정보 프레임(I프레임): 상위계층이 전송을 요구한 데이터를 수힌 호스트에 전송하는 용도로 사용 긍정 응답 프레임(ACK프레임) : 수신호스트가 제대로된 데이터를 받았을때 사용 부정 응답 프레임(NAK프레임) : 데이터가 변형 되었을 경우 사용합니다. 4. 수신호스트의 버퍼가 유.. 2019. 6. 11. Chapter 14. UML 모델링 UML 모델링 특징(★★★) 먼저 UML은 객체지향 설계를 위한 표준 언어로,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산출물을 가시화, 명세화, 구축, 문서화 하는데 사용됩니다. 가시화 : 소프트웨어의 개념 모델을 시각적인 그래픽 형태로 표기하고, 표기법에 사용하는 심벌에 명확한 정의를 부여하는 것 입니다. 이것을 통해 개발자들은 원활한 소통을 할 수 있습니다. 명세화 : 정확하고, 명백하며, 완전한 모델을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UML은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분석, 설계, 구현 각 단계에서 필요한 모델을 정확하고 완전하게 명세하는 역할을 합니다. 구축 :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표현하는 것 입니다. 또한 이미 구축되어 있는 소스코드를 UML로 역변환하여 분석하는 역공학(Reverse Engineering)도 있습니다... 2019. 6. 10. Chapter 13. 객체지향 방법론 객체지향 방법론의 이해 객체지향 방법론의 4대 방법론을 적으시오 Booch 법 Coad.Yourdon법 shlaer/Mellor 법 OMT법 객체지향 방법론 표기법의 차이가 문제로 대두 따라서 레셔널사는 표기법만이라도 통일하자는 취지로 UML을 제안하였습니다. UML을 사용하면 장점은 다른 방법론을 사용하여 분석및 설계해도 이해하기 쉽고, 경우에 따라서는 부분적으로 다른 방법론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입니다. 객체지향의 학습 로드맵을 보겠습니다 먼저 개념을 파악하겠습니다. 방법론 : 앞서 객체지향 방법론의 개략적인 역사를 살펴 보았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레셔널사가 그 표기법만이라도 통일하자고 제안하여 통일된 표기법이 UML입니다. 객체지향 : 객체지향의 핵심 개념으로는 객체, 클래스, 캡슐화, 데.. 2019. 6. 10. Chapter 11. 관계형 DB 설계 과정 엔티티 정의 1. 엔티티의 개념과 조건 업무 수행을 위해 기업이 알아야할 대상이 되는 사람, 장소, 사물, 사건 및 개념을 말합니다. 엔티티의 충족 조건 업무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야 함 명확한 속성 유형이 하나 이상 존재해야 함 각각의 인스턴스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함 엔티티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다른 엔티티와 관계를 가져야함 2. 엔티티 추출 엔티티로 추출될 수 있는 대상 데이터의 범위 정보전략계획의 산출물인 전사 데이터, 정보수집 공정의 산출물, 사용 장표 및 각종 서식, 정보시스템의 구조 분석 결과 엔티티 추출 기준 현업에서 사용하는 명사형 어휘를 추출하고 엔티티 조건의 충족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하고 상상력으로 창조는 하면 안됨 엔티티 추출 시 주의사항 상상력을 동원한 엔티티 X, 존재 여부를 확인.. 2019. 6. 10. Chapter 10. 데이터모형 구축 방법 정보공학 방법론의 개요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여러 작업 단계들의 수행방법과 작업 수행시 도움이 되는 기법 및 도구를 이용한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각 작업 단계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작업 수행의 표준규범 입니다. 1. 방법론의 출현과 발전 과정 방법론이 필요한 이유 작업 방법의 표준화 : 이것을 통해 소프트웨어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했습니다. 커뮤니케이션 향상 : 개발자와 사용자 모두 동일한 모형화 도구를 통해 자신의 생각과 업무처리 절차에 대해 표현, 이해 정보시스템 품질 수준의 목표 달성 : 치명적인 오류와 실패를 막아주고 정보시스템의 품질 수준을 높여주는 효과를 얻음 프로젝트 위험의 최소화 : 각 공정의 산출물 검토와 개선을 통해 프로젝트의 위험을 감소시켜준다 주어진 기간과 비용 내에서 시스템.. 2019. 6. 10.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