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AI/관련자료22 통계 분석 기법을 이용하기 위한 가설 검정 먼저 통계적 가설 검정을 하기전에 통계 분석 절차를 설명하겠습니다. 통계 분석 절차 1. 분석 방법 선정 2.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른 귀무가설(영가설)과 대립가설 설정 3. 분석도구(SPSS,R등) 검정 통계량 실행 및 확인 4. 유의수준(a) 결정 : 0.1, 0.05, 0.01 5. 유의확률(P) 확인 6. 유의확률과 유의수준 비교 ( 2019. 5. 28. SKT·대구시·대구경찰, 유동인구 빅데이터 활용 안전사회 조성한다 먼저 데이터 분석을 활용하면 어떤 일에서 잘 활용할 수 있을까 생각했는데 대구경찰이 유동인구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범죄가 발생하면 빠른 대처를 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구나 라고 생각했습니다. 순찰 노선 개선 통해 출동시간 단축 ∙∙∙ 범죄현장 골든타임 확보 및 선제 대응 기대와 인력∙장비 효율적 배치로 순찰 비용 절감하고 국민의 체감 안전도 향상에 기여 특히, 백왕흠 대구시 스마트시티과장은 “이번 협업을 계기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대구광역시의 안전 사각지대를 줄이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라고 밝혔혔으며, 유오재 대구지방경찰청 생활안전과장은 “빅데이터 분석을 적용해 인력과 장비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신고출동시간을 단축해 국민이 느끼는 체감 안전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019. 5. 25. KT넥스알, 차세대 클라우드 빅데이터 플랫폼 출시한다 확률과 통계 수업을 들으면서 빅데이터와 클라우드에 대한 이야기가 자주 나오는데 마침 이런 기사가 있어서 한번 읽어 보게 되었습니다. ‘지능형 데이터’ 폭증하는 5G 시대 다양한 영역의 기관·기업 의사결정 지원...AI 모델 구축 환경, 에지 컴퓨팅 등 3가지 주요 기능을 ‘콘스탄틴’에 도입 먼저 기사 초반에 빅데이터에 대한 설명을 소개하는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오늘날 빅데이터 플랫폼은 제조 공장, 신용카드, 포털 사이트, SNS 등 다양한 데이터 소스에서 발생된 정보를 수집·저장하기 위해 필요한 IT 환경이다. 현재 많은 기업들이 빅데이터 플랫폼을 이용해 경영에 필요한 인사이트(Insight)를 도출하고 데이터에 기반한 비즈니스 혁신을 추구하고 있으나, 기존에 운영됐던 시스템(레거시 시스템)과 분리된 별.. 2019. 5. 21. 머니브레인, 고품질 딥러닝 음성합성(TTS) 기술 공개 사람의 목소리를 학습하여 실시간 음성합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기술이 필요한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에 즉시 탑재하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합니다. 저는 여기서 고품질 딥러닝 음성합성(TTS) 기술이 궁금해서 TTS가 무엇인지 조사해 보았습니다. TTS란 (Text To Speech)로 문자를 음성으로 합성하는 기술을 가집니다. 사람의 목소리를 학습하여 문맥에 따라 높낮이, 강세, 발음하는 방법을 습득하는 현존하는 가장 뛰어난 음성합성 기술이며, 우리가 흔히 듣는 기계음 방식의 음성합성 기술에 비해 자연스럽고 뛰어난 음성품질을 특징으로 합니다. 머니브레인의 장점은 일반적으로 딥러닝 음성합성을 위해서는 수초의 시간이 소요되는 반면 머니브레인은 실시간 음성합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실시간 커뮤니케.. 2019. 5. 9. 카카오치즈에 사용되는 Face Alignment라는 AI기술 카카오의 어플인 카카오치즈에서는 프로필 사진을 다양하게 꾸며줄 수 있는 기술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때 사용하는 기술을 Face Alignment라는 기술을 사용합니다. Face Alignment란 얼굴 특징을 트래킹하는 AI학습 시스템 이라고 합니다. 우리말로 해석해 보자면 '얼굴 일치', '얼굴 정렬'이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을 사용한 예시는 수백만 얼굴 영상을 미리 학습해 둔 AI 시스템이 있는데, AI시스템은 수백만 얼굴에서 특징(feture)을 추출하고 이것을 학습 해 특징점의 위치를 예측합니다. 얼굴의 다양한 특징을 학습하는데 예를들면 이마의 너비와 길이, 미간의 거리, 코의 길이와 너비나 높이, 입술의 두께와 입꼬리의 각도 등 모든것이 분석 대상입니다. 그리고, 특히 AI의 학.. 2019. 5. 1. 진단 AI가 신장이식 거부반응 빠르게 찾아낸다 서울아산병원 김남국·고현정 교수팀, CNN 이용해 90% 정확도로 13분 만에 진단하는 AI 개발…전문의 추가 판독해 오류·소요 시간 최소화 기대 ※ 여기서 저는 CNN이라는 단어를 몰라서 한번 조사해 봤습니다. 영상과 음성에서 좋은 성능을 보이는 알고리즘입니다. 합성곱신경망 이라고도 하고, 전처리를 추가한 다층퍼셉트론의 한 종류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신경망에 기존의 필터기술을 병합하여 신경망이 2차원 영상을 잘 습득할 수 있도록 최적화 시킨 방법입니다. 이름에서 보이는것처럼 컨벌류션(합성곱) + 신경망 이라는 뜻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기사에서 찾아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http://www.ai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13730 진단 AI가 신장이식 거부.. 2019. 4. 30. 이전 1 2 3 4 다음